본문 바로가기
쪼렙이의 투자일기

투자일기 EP.01 준비하기

by 쪼렙 일개미 2023. 9. 8.
728x90
반응형

ETF를 투자의 중심으로 하기로 선택한 나는 지난 3월부터 본격적으로 투자를 하기시작하였다.

 

< 중요포인트 >

1. 내 대신 매달 운용해주기

2. 소액이라도 배당금 받을 수 있게 세팅

3. 장투 

4. 횡보장에 대응가능

5. 매달 최소 30만원 이상 납입

6. 세금혜택

 

ETF 투자 전 생각해본 중요 포인트였다.

적금처럼 넣지만, 적금보다 더 큰수익을 얻기 위함이다.

 

 

 

STEP 1

ISA 통장 계설

ISA는 소득에 상관 없이 19세 이상이면 누구나 가입이 가능하며, 15~19세 미만도 소득이 있으면 가입이 가능하다. 의무 계약기간은 3년(계약기간 연장, 재가입 허용)으로 만기일 전까지 만기 연장이 가능하며, 납입 한도는 연간 2000만 원(납입한도 이월하여 최대 1억 원까지)이다. 투자자는 금융회사 중 한 곳에서 한 개의 계좌만 개설할 수 있으며, 해당 계좌에 예·적금, 상장지수펀드(ETF), 리츠(REITS), 파생결합증권(ELS), 국내주식 등 다양한 금융상품을 담아 투자할 수 있다.  

 

ISA는 소득에 따라 서민형(근로자: 소득 5000만 원 이하/사업자: 소득 3500만 원 이하, 농어민)과 일반형(서민형을 제외한 나머지)으로 구분되며, 그 운용 방식에 따라서는 일임형과 신탁형, 중개형(2021년 신설) 등 3가지로 구분된다. 신탁형은 투자자가 다양한 상품을 직접 선택하여 신탁업자에게 그 운용을 지시하는 것이며, 일임형은 금융사의 모델포트폴리오 중 하나를 선택하면 금융사가 모두 운용하는 방식이다. 증권사에서만 가입이 가능한 중개형은 스스로 상품을 선택하고 직접 매매가 가능한 방식으로, 국내상장주식을 자유롭게 매매(신탁형+국내주식 매매)할 수 있다. 수수료의 경우 일임형이 연 0.3~0.8%로 신탁형(연 0.1%)보다 높으며, 중개형의 경우 별도 계좌 수수료가 없다.

 

 

 

STEP 2

연금 저축 펀드 계좌 계설

연금저축펀드는 은퇴 후 여유로운 노후생활 준비를 위한 상품으로 소득세법에 따라 가입기간 중에는 세액 공제를 받을 수 있고, 연금으로 수령하는 경우 저율의 연금소득세가 과세되는 세제혜택 상품이다.

 

연금저축 가입자가 연금저축 납입시 연금저축 납입액[한도: 연 400만원을 한도로 하되, 종합소득금액이 1억원 초과(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총급여액 1억2천만원 초과)인 거주자는 연 300만원]의 12%[종합소득금액이 4천만원 이하(근로소득만 있는 경우에는 총급여액 5천 500만원 이하)인 거주자에 대해서는 15%]에 해당하는 금액을 종합소득산출세액에서 공제한다(소득세법 제59조의3). 추후 연금저축에서 가입자가 연금수령 요건(55세이후 인출, 가입일부터 5년이 경과된 후에 인출, 연금수령한도이내에 인출)을 갖추어 인출하는 경우에는 연금소득으로 보아 종합소득에 합산하여 과세하되, 연 1,200만원까지 3~5%(지방세 별도)로 분리과세 여부를 선택할 수 있다. 또한, 의료목적, 천재지변이나 그 밖에 부득이한 사유 등 법정 요건을 갖추어 인출하는 경우에는 3~5%(지방세 별도)로 분리과세된다. 그러나, 중도해지 등 연금수령 요건을 갖추지 않고 지급받는 경우에는 기타소득으로 원천징수(15%, 지방세 별도)되고 분리과세된다. 다만, 당초 세액공제를 받지 않은 연금저축 납입액에 대해서는 수령시 소득세를 과세하지 않는다.

 

출처 : 네이버 지식백과 (시사경제용어사전)

 

 

결론

ISA : 만기때 한꺼번에 받음, 가입후 3년 후 해지하게 되면 해지대금의 일부 또는 60일 이내에 연금계좌로 납입시 납입액의 10%(최대 300만원)을 해당 연도에 세액 공제 받음

연금저축펀드 계좌 : 년 600만원 한도에서 15%까지 세액 환금

 

---------

 

매달 배당해주는 ETF를 잘 선별해야한다.

성장가능성, 운용수수료, 배당여부, 배당주기 등등 미리 예측하고 체크해야 성투를 할 수 있다.

 

 

나의 첫 ETF

tiger 미국테크top10 INDXX

총보수 : 0.49%

8,000원대에 입성하여 10,800원대에 매도하고 나왔다

그때는 다시 9천원대로 떨어져 잘한 것 같았지만, 현재.. 14,000원대다.

엔디비아가 하늘끝까지 올라갈줄 어찌알았겠는가..

- ETF는 안목 + 끈기가 중요하다.

 

 

다음 포스트는 3월 투자 결과 일기

 

 

728x90
반응형

'쪼렙이의 투자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투자일기 EP.04 2023년 5월  (0) 2023.09.15
투자일기 EP.03 2023년 4월  (0) 2023.09.12
투자일기 EP.02 2023년 3월  (0) 2023.09.11
투자일기 - EP.0  (2) 2023.09.08
나의 주식투자 이야기  (0) 2022.04.20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