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쪼렙이 공부하기/경제 공부하기

매파 vs 비둘기파

by 쪼렙 일개미 2022. 5. 1.
728x90
반응형

출처 : 네이버 뉴스 캡쳐

 

최근 글로벌 경제 뉴스 중 화두는 미국의 금리인상 여부이다.

이와 관련된 뉴스를 읽다보면 '매파'와 '비둘기파'라는 말이 자주 등장한다. 

 

비둘기파(Doves)는 정책을 추진하는 면에서 성향이 부드러운 온건파(평화주의자)를 일컫는다.
이와 반대로 매파(Hawks)는 급진적이고 강력한 강경파(강경론)를 부르는 말이다.

매는 원래 공격적인 조류로 자기 보다 작은 새나 농가의 닭등을 잡아먹는 새이다. 반면 비둘기는 평화의 상징으로서 각종 행사나 평화를 기원할때 날려보내는 상징적 동물이다. 따라서 협상 등을 통한 평화를 원하는 정당이나 집단을 비둘기파라고 하고 무력등을 통해 밀어 붙이기식의 정복을 원하는 정당이나 집단을 매파라고 한다.

(참고로 중립은 올빼미 파라고 한다. 어느 한쪽의 의견을 개진하지 않고 지켜보는 관찰자적인 모습을 비유한 것)

 

출처 : 뉴스투데이

 

매파와 비둘기파는 원래는 경제 용어가 아닌 외교적 용어였다. 1960년대 베트남 전쟁 때부터 사용되었는데, 당시 전쟁을 계속해야 한다고 주장하는 강경파를 ‘매파’, 전쟁을 멈추고 외교를 통해 풀어가지는 온건파를 ‘비둘기파’라고 불렀다.
그 후 이 용어는 한 나라의 통화정책인 금리 인상 또는 인하를 결정하는 사람들의 성향을 구분하는 말로도 쓰이고 있다.
미국 연방준비제도(Fed)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FOMC)나 한국의 금융통화위원에서 기준금리를 결정하는 이야기가 나오는 경제 기사에서 자주 보인다. 그래서 요즘같이 인플레이션이 점점 거세지는 시기에 많이 보이곤한다.

 

 

 

매파의 경제적 관점

매파는 물가안정을 위해 긴축정책을 펼쳐 금리 인상을 주장한다. 긴축정책은 시중의 통화량을 줄이는 정책으로 금리를 올리게 되면 사람들은 투자를 멈추고 저축을 많이 하게 된다. 은행이자가 비싸지기 때문이다. 그렇게 되면 시장에 흐르는 돈이 예적금 통장으로 들어가 통화량이 줄어들게 될 것이다. 그러면 화폐의 가치가 올라 인플레이션도 억제가 되고 결국 물가가 안정을 찾게 된다. 하지만 계속 이렇게 시장에 흐르는 돈이 줄어들게 되면 유동성인 돈의 흐름이 원활하지 못해 경제 성장이 둔화될 우려도 있고 기업도 금리가 높기에 대출을 하지 않아 투자를 줄이게 되고 곧 고용 불안까지 연결될 수도 있다.

이렇게 인플레이션 억제가 중요하다는 것이 매파의 주장이다.

하지만 이렇게 되면 시장에 자금이 원활히 흐르지 못해 경제성장이 둔화될 수 있다.

 

 

출처 : 이코노믹리뷰

 

비둘기파의 경제적 관점

비둘기 파는 매파와 반대로 경제성장을 위해 금리 인하를 주장한다. 화폐 가치를 낮추기 위해 양적완화인 화폐(돈)의 발행량을 늘리는 것을 주장하는데, 금리를 인하하면 물건 값은 그대로 이거나 조금 올라있는데 돈은 많이 풀려 화폐가치가 낮아진다. 그렇게 되면 사람들은 소비를 많이 하게 되고 또 공급인 화폐가 많아져 금리가 낮아지게 된다. 그래서 예적금 이자가 낮아지고 저축이 아닌 투자를 많이 하게 되며 시중에 돈이 흐르게 된다. 그렇게 되면 자금이 원활하게 흐르며 경제가 활성화된다. 그래서 양적완화를 경기 부양하는 정책으로 많이 활용한다. 하지만 그렇게 지속적으로 화폐를 공급하면 물가상승률이 적절함을 넘어서는 지금과 같은 인플레이션이 발생하기도 한다.

그래서 금리 인하와 상승을 반복하는 것이다.
 

정리

매파(Hawks) - 통화정책 상 강경파
- 경기과열, 인플레이션 억제 필요, 물가 안정 필요
- 기준금리 인상 주장
- 증시 하방 압력
비둘기파(Doves) - 통화정책 상 온건파
- 경기 부진, 인플레이션 장려, 물가 안정보단 경제 성장 필요(경기부양 정책)
- 기준금리 인하 주장
- 증시 상승 작용
올빼미파(Owls) - 통화정책상 중립파
- 경제적, 사회적 상황에 따라 금리 인상, 금리 인하 탄력적 선택

 

 

[참조] 시사상식사전, pmg 지식엔진연구소, 이코노믹리뷰, MZ 부부, 재테크 휘날리며, 우상향론자 블로그

728x90
반응형

'쪼렙이 공부하기 > 경제 공부하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제공부] 데드캣 바운스란?  (0) 2022.05.05
PER, PBR 이란?  (0) 2022.05.03
스태그플레이션  (1) 2022.04.30
베어마켓(feat.불 마켓)  (0) 2022.04.29
FAANG의 몰락과 대체 전략  (0) 2022.04.28

댓글